티스토리 뷰
여러분 가족관계 호칭에 대해 잘 알고 계시나요? 사실 평소에는 크게 어려울게 없는데요. 결혼하는 순간 좀 복잡해지고 많아집니다. 제 친구도 결혼하고 나서 호칭 때문에 꽤 고생했다고 하더라고요. 익숙하지 않아 낯설고 입에 잘 붙지 않아서 말이에요.
이렇게 알면 알수록 복잡하고 어렵기도 한 호칭에 대해서 오늘은 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 결혼 전 가족관계는 간단합니다. 호칭도 크게 어려워질게 없습니다. 일단 친가와 외가로 나눌 수 있고 각각 다른 호칭들을 쓰게 됩니다. 많은 분이 익숙하게 쓰죠. 이모라는 호칭은 가족이 아닌 여러모로 쓰이기도 하고 말이죠.
[외가의 호칭]
- 엄마의 아빠 : 외할아버지
- 엄마의 엄마 : 외할머니
- 엄마의 여자 형제 : 이모
- 엄마의 여자 형제의 남편 : 이모부
- 엄마의 남자 형제 : 외삼촌
- 엄마의 남자 형제의 아내 : 외숙모
[친가의 호칭]
- 아빠의 아빠 : 할아버지
- 아빠의 엄마 : 할머니
- 아빠의 여자 형제 : 고모
- 아빠의 여자 형제의 남편 : 고모부
- 아빠의 남자 형제 : 숙부, 백부, 삼촌
- 아빠의 남자 형제의 아내 : 숙모
[결혼 후, 처가식구들의 가족관계 호칭]
- 아내의 아버지 : 장인어른, 아버님
- 아내의 어머니 : 장모님, 어머님
- 아내의 언니 : 처형 / 언니의 남편 : 형님
- 아내의 오빠 : 형님 / 오빠의 아내 : 아주머니
- 아내의 여동생 : 처제 / 여동생의 남편 : 동서
- 아내의 남동생 : 처남 / 남동생의 아내 : 처남댁
[결혼 후, 시댁식구들의 가족관계 호칭]
- 남편의 아버지 : 시아버님, 아버님
- 남편의 어머니 : 시어머님, 어머님
- 남편의 누나 : 형님, 시누이 / 누나의 남편 : 아주버님
- 남편의 형 : 아주버님 / 형의 아내 : 형님, 큰동서
- 남편의 여동생 : 아가씨, 아기씨 / 여동생의 남편 : 서방님
- 남편의 남동생 : 미혼이면 도련님, 기혼이면 서방님, 시동생 / 남동생의 아내 : 동서
복잡한 듯 그리 복잡하진 않은 것 같네요. 이러게 결혼 전과 후로 나누어 가족관계 호칭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았는데요. 저는 이렇게 포스팅을 하다 보니, 익숙한 호칭들도 있고 조금은 낯설었던 호칭들도 있었는데요. 호칭들을 잘 알아두면 어느 자리에서도 문제없을듯합니다.